What if

2. 푸른 행성 화성 Blue Planet Mars

EarthianK 2017. 1. 4. 16:48

푸른 행성 화성 Blue Planet Mars

 

'Astronomy Cast Ep. 432 Geological Ages of Mars' 에서 다룬 화성의 지질학적 나이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푸른 화성에 대한 상상을 펼쳐본다.

 

여러 영화나 소설의 소재가 되었던 화성, 최근에는 사람을 보내는 계획이 발표되고 진행되고 있다. 무모해 보일 있지만 화성을 인간의 눈과 손으로 직접 탐사해보려는 노력을 단순한 호기심 때문으로 폄하할 수는 없다. 화성 탐사에는 그만한 과학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지구의 지질학적 시대를 고생대 Paleozoic Era, 중생대 Mesozoic Era, 신생대 Cenozoic Era등으로 구분하듯이 화성의 지질학적 나이도 시대적으로 구분할 있다.

 

1. 화성의 지질학적 시대 구분

자료참고1

 

자료참고 2

 

화성의 지질학적 연대 구분은 지구와 달리 직접 지층이나 암석을 분석할 없기 때문에 화성에서 유래한 운석과 탐사선의 사진자료를 가지고 연대 구분을 한다.

 

Crater density timescale

운석이나 소행성의 충돌로 생긴 크레이터 crater 밀도 (빈도) 따라 지각의 연대를 구분한다. 오래된 지각은 크레이터의 밀도가 높고 최근 지각일수록 크레이터 밀도가 낮다. 이렇게 지각의 연대를 구분하면, 화성의 지각은 크게 4가지 시대로 나뉘어 진다.

 

Pre-Noachian period (4.5 - 4.1 billion years ago)

45억년 전에 화성이 형성되고 나서부터 대략 41억년 전까지의 시기.

 

Noachian period (4.1 - 3.7 billion years ago)

41억년 전부터 37억년 전까지의 시기.

소행성이나 운석의 대충돌이 자주 일어나고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시기, 대기와 물이 풍부했으며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시기.

 

Hesperian period (3.7 - 2.9 billion years ago)

37억년 전부터 29억년 전까지의 시기.

충돌과 화산활동, 거대한 강이 존재한 흔적이 있음,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시기.

 

Amazonian period (2.9 billion years ago to present)

29억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

충돌과 화산활동 빈도가 낮아지고 대기의 밀도가 낮아지면서 현재와 같은 화성의 모습이 만들어진 시기. 붉은 행성이 되는 시기.

 

2. 붉은 행성 화성 Red planet Mars

흔히 화성을 붉은 행성 Red planet이라고 부른다. 지금의 화성의 모습이 것은 아마조니안 시대 이후, 화산활동이 줄어들고 표면의 물도 증발하면서 부터였다. 지각 표면 암석의 철성분이 산화되면서 붉은색을 띠게 되었고 과거의 화산활동의 산물인 거대한 산맥과 물이 흘렀던 흔적을 남긴, 현대의 붉은 행성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3. 푸른 행성 화성 Blue planet Mars

노아키안 시기 Noachian period, 헤스페리안 시기 Hesperian period 화성은 비도 내리고 왕성한 화산활동과 함께 홍수에 의한 지각 침식 등이 일어났으며 생명체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었다고 한다. 시기의 화성은 풍부한 물로 이루어진 바다나 호수가 있는, 지구와 같이 푸른 행성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시기에 형성된 지각에서 생명체의 증거가 담긴 화석을 발견할 있을까? 아직도 극지방에는 얼음의 형태로 물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여기서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할 있을 지도 모른다.

 

만약 화성이 지금까지 물과 대기를 보존한 푸른 행성이었다면?

 

화성에 대한 전혀 다른 소설과 역사서들이 등장했을 것이고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처럼 왕성한 탐사와 개척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1960년대의 달탐사처럼 화성탐사 계획이 진행되고 연일 화성에 관한 기사와 과학적 발견에 대한 뉴스가 나온다. 지구의 극지방 연구와 비슷하게 화성의 영토를 선점하기 위한 국가간의 경쟁이 벌어진다. 지구와 비슷한 지각구성이라면 귀금속과 희귀원소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화성에 존재할 지도 모르는 생명체에 대한 연구와 발견에 대한 기대가 뜨겁다.

 

4. Earthian  vs. Martian 지구인 화성인

가까운 미래에는 화성에 정착하는 인간이 나타난다. 화성의 환경을 인간에게 적합하게  바꾸게 되면서 생명보조장치없이 화성에서 있게 된다. 인간에 의한 화성 생명체의 대멸종이 벌어질 수도 있다. 지구의 역사에서 인간의 이주에는 언제나 생믈의 대량 멸종이 뒤따랐다.

 

훗날에는 인간을 지구인 Earthian 화성인 Martian, 또는 지구인 Earthian 지구계 화성인 Earthian-Martian으로 분류하는 시대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