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에 읽어볼 책은 션 B. 캐럴 Sean B. Carroll의 2009년 책, '진화론산책 Remarkable Creatures' 이다.
지은이는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 University of Wisconsin 에서 유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책과 최근 활동에 관한 것은 다음 사이트 http://seanbcarroll.com/ 에서 볼 수 있다.
'진화론 산책 Remarkable Creatures'
‘소설보다 재미있는 진화의 역사 진화론 산책 Remarkable Creatures’
지은이 션 B. 캐럴 Sean B. Carroll
옮김 구세희
(주)살림출판사
훌륭한 학자는 드물지 않다. 글을 잘 쓰는 훌륭한 저술가도 많이 있다. 그렇지만 훌륭한 학자이면서 좋은 저술가인 사람은 찾기 쉽지 않다. 이 책을 지은 Sean Carroll은 그 자신이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훌륭한 학자이면서 진화론의 핵심을 일반 대중에게 잘 전달해주는 책을 쓰는 훌륭한 저술가이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뉘어 있다.
1장 훔볼트의 선물
1부 이론의 발전
2장 다윈 목사, 옆길로 빠지다
3장 원숭이와 캥거루 사이에 선을 긋다
4장 생명, 생명을 모방하다
2부 아름다운 유골
5장 자바원인
6장 말을 타고 빅뱅까지
7장 용이 알을 낳는 곳
8장 중생대가 막을 내린 날
9장 깃털 달린 공룡
10장 발 달린 물고기
3부 인류의 역사
11장 석기시대로의 여행
12장 시계, 나무 그리고 수소폭탄
13장 네안더 계곡의 CSI 과학수사대
1부 이론의 발전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기념비적인 여행을 떠나게 되는 영감을 심어준 위대한 훔볼트의 여행기에서부터, 다윈과 함께 전세계를 여행하며 진화론 이론을 발전시킨 월리스 등의 동시대 사람들의 과학탐험기이자 모험기를 이야기한다. 다윈의 진화론이 탄생하게 된 이론적, 시대적 배경을 다룬다.
2부 아름다운 유골
다윈의 진화론 발표 후에 중요한 발견을 이끈 화석 연구의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현재의 과학 이론이 정립되고 기존의 이론을 뒤집었는지를 과학자들의 발굴 여행기를 통해 살펴본다. 화석 발견을 통해 현대의 진화 이론이 정립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3부 인류의 역사
인류가 자신에게 던지는 피할 수 없는 질문, 우리 자신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 인간의 기원에 대한 의문과 원시 인류의 화석 발견,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기법의 도입으로 인류 진화의 연대를 추적하는 과정을 다룬다. 인간의 기원과 관련된 과학적 발견을 다룬다.
책을 읽는 동안, 한글 제목이 진화론 산책이지만 좀 더 역동적이고 흥미진진한 여행기를 읽은 느낌이 들 것이다. 그리고 진화론이 어느 날 갑자기 떠오른 천재적인 영감의 산물이 아니라 자연과 생명체를 관찰하고 이해하려고 한 인간들의 끊임없는 도전과 발견을 통해 이루어진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역사학이다'. 진화론의 역사는 인간 지성이 어떻게 자연을 바라보고 자기자신에 대한 세계관을 바꾸어 왔는지에 대한 역사다. 다윈 시대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가 지질학의 발전과 진화론의 결합으로 어떻게 극적으로 변화하게 되는지를 볼 수 있다. 다윈 이후, 인간에 대한 이해는 만물의 영장, 신의 고귀한 창조물에서 한 종의 동물로, 지구와 함께 변화해온 생태계의 일부로 자신을 인식하게 되었다.
책을 마무리하면서 지은이는 다음의 질문을 던진다. “미래의 지적모험에서 진화론 같은 새로운 무엇이 발견될 것인가? 지구에서 생명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그리고 아직 풀지 못한 의문들, 우주에서 다른 생명체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을까?”
대답은 각자의 몫이다. 다윈이 그랬듯이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고 탐구하면서 해답을 찾아왔다. 훔볼트에서 다윈, 그 이후의 수많은 연구자들이 그랬듯이, 현재에도 미래의 인간들도 자연이 던지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지구에서 우주까지 탐험을 계속할 것이다. 앞으로 이어질 생명체와 진화에 대한 발견들은 우리의 세계관을 어떻게 바꾸게 될까?
모험은 이제 우리의 몫이다.
'과학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인슈타인 & 보어 확률의 과학, 양자역학 (0) | 2017.01.16 |
---|---|
Sapiens 사피엔스 (0) | 2017.01.10 |
진화에 관한 10가지 신화 (0) | 2016.12.20 |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0) | 2016.12.12 |
김상욱의 과학공부 (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