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과학책 읽기

사이언스 저널리즘

EarthianK 2017. 3. 6. 16:20

사이언스 저널리즘


박종인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우리나라의 현직 기자가 쓴 사이언스 저널리즘에 관한 책을 소개한다. '사이언스 저널리즘'



지은이 박종인은 20년 가까이 사회부 기자로 일하다 KAIST 사이언스 저널리즘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공부했다.


지은이 박종인은 사이언스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또 언론에서 사회부 기자로 일한 기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과 언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우리에게 익숙한 우리 주변에서 일어났던 과학과 관련된 사건들을 실제 사례로 다루면서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로시 넬킨의 '셀링 사이언스'가 미국의 얘기라면 박종인의 '사이언스 저널리즘'은 우리의 얘기다.


모두 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이언스 저널리즘이 무엇이며 필요한 이유, 우리나라 언론의 사이언스 저널리즘 현실, 전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1장 왜 사이언스 저널리즘인가?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존재 이유

주목받는 사이언스 저널리즘


2장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실체

사이언스 저널리즘이란?

우리 언론의 사이언스 저널리즘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한계


3장 과학보도 없는 과학시대

우리 언론의 인식

우리 언론의 현황

위기의 사이너스 저널리즘


4장 사건으로 본 우리 언론의 사이언스 저널리즘

일본 쓰나미와 원전 폭발, 그리고 고리원전

천안함 폭침 사건

황우석 배아 줄기세포 조작 사건

가축 대재앙 구제역과 광우병

국경과 실체 없는 조류독감

정치 입김에 휘둘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밀양 표충비, 그 땀의 비밀


5장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 창조적 융합 콘텐츠

정부.언론.과학자의 인식 변화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부활

과학 대중화와 시민 참여



과학 기술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수록 과학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연구 과정과 성과를 시민의 통제 아래에 두는 것이 중요해 졌다. 사이언스 저널리즘이 필요하고 중요한 이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과학뉴스 보도는 기대에 못미친다. 지은이는 지난 여러 사건들을 보도했던 언론들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앞으로 가야할 길을 제시한다. 모자라는 점이 많고 한계가 있지만 정부.언론.과학자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적극적인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언론.과학자의 역할과 함께 과학의 성과와 한계를 사회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시민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우리나라의 과학과 언론 환경에서 바라본 사이언스 저널리즘의 현황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과학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의 민중사 A People's History of Science  (0) 2017.03.28
뉴스가 말하지 않는 것들  (0) 2017.03.06
셀링 사이언스 Selling Science  (0) 2017.03.06
다윈 이후 Ever Since Darwin  (0) 2017.02.21
암흑 물질과 공룡  (0) 2017.02.17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